검색결과 리스트
User Interface에 해당되는 글 2건
- 2008.11.12 IPTV에서 숫자 Key의 동작
- 2008.09.17 화면내 시선의 흐름을 추적한다 - Feng Gui
글
IPTV에서 숫자 Key의 동작

TV 시청중에 (채널 시청만 가능한 경우)
숫자 Key를 누르면 채널이 입력되고 해당 채널로 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채널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에서도 동일한 Rule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
아래는 사용자 VOC 이다.
...
마지막으로 현재 뿡뿡이가 254회까지 나왔는데 애녀석이 벌써 100몇회를 보는데 회차선택이 불편합니다.
현재 하나씩(1,2회...) 이동하거나 7칸씩 건너뛰기가 있는데 150회까지 이동하려면 리모콘을 누르고 있거나(이러면 그냥 지나쳐서 다시 돌아와야 하는 불편이 생기기도 하죠), 21회 이상을 리모콘버튼을 눌러야 되네요.
너무 불편하니 회차선택 모드에서는 숫자를 누르면 해당 회차로 곧바로 이동하면 좋겠습니다. 현재는 회차모드에서 숫자누르면 채널선택으로 인식이 되더군요. 예)200을 누르면 200회를 볼수있게..
위의 문제를 일반화하면 숫자 Key의 사용 문제
(단지 위의 VOC만 해결한다면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메뉴를 선택하여 회차 목록에 진입했을 때 커서를 이전에 시청했던 회차로 제공하는 것도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메뉴 화면에서는 숫자 Key로 메뉴를 Quick Access (휴대폰의 경우와 같이)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화면내 시선의 흐름을 추적한다 - Feng Gui
Eye Tracking이라는 장비는 사람들의 시선을 추적하여 제품 또는 화면 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좋은 기술이다.
시선 추적 결과를 얻기 위하여 머리에 카메라를 쓰고 화면을 주시하면 화면 및 눈의 움직임을 녹화하여 결과를 알려준다.
그런데 직접 카메라로 눈의 움직임을 촬영하지 않고도 화면의 그림 파일만 있으면 자동으로 시선의 움직임을 추적해 주는 Site가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이름하여 FENG-GUI.
Site에 그림을 올리고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에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메가TV의 메뉴 화면을 올리고 분석을 해 보니까 아래와 같은 결과나 나왔다.
직접 분석을 하지도 않았는데도 결과를 잘 보여준다. 참 신기하다.
문제는 과연 이 결과가 정확한 결과인가는 것이다. (의심이 많은...-_-)
왜냐하면 이전에 간단하게 분석했던 결과에서는 좌상단의 그림에는 시선이 거의 가지 않고 메뉴 항목을 살펴보는 경향이 강하게 나왔었기 때문이다.
이에 몇가지 생각들.
1. 이 사이트에서 사용한 알고리즘이 무엇일까? 화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object를 발견하고 (색상이든 명채도든 뭐든) 각 object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람들의 시선 움직임 (좌상단 -> 우하단)의 rule을 weight로 줬을 것 같다.
2. 시선 움직임을 분석할 때에는 초보자의 경우와 이미 익숙해진 사용자의 경우가 크게 다를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결과를 분석, 반영해야 한다. 이는 디자인 목적에 따라서 크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기는 하겠지만 사용성을 고려한 UI 설계에 대해서는 초보자보다는 어느정도 사용에 익숙해진 사람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튼 made in China라서 쫌 의심스럽긴 하지만 -_-
좋은 idea에서 나온 재미있는 서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