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기능정의 문서 관리와 관련한 고민거리들...

카테고리 없음 2008. 11. 19. 11:57
1. UI, GUI 관련 전체 문서 구성 방법
- 기본적으로 문서별 Audience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에 맞추어 문서 구성 (최대한 내용 중복 없애도록)
- UI 기능정의 문서 (플립북)
- GUI 가이드 문서
- 외부에서 Application을 개발하는 업체가 따라야 하는 UI/GUI Guide (현재의 UISM) 문서는 플립북과 별도로 작성 및 배포
- 운영 가이드 문서 별도 분리
- 상품 설명, 요금 정책 설명, 상품 출시 일정 등은 해당 부서에서 별도의 문서로 관리되어야 함

2. 플립북 (UI 기능정의서)
- 기능 이해가 필요한 내부 관계자 및 SW, GUI 개발 담당자가 봐야하는 문서임. 개발 위주가 아닌 기능 설명 위주로 문서 작성되어야 함 (어떻게 동작이 되는것인지?)
- 공통 interaction guide는 자세하게 별도 문서로 구성
- icod와 dnp 문서 분리 여부 검토 필요
- 기능별로 문서 분리 여부 검토 필요함 (예, 채널 문서 / VOD 문서 / 설정 문서 등)
- 용어 및 서비스 설명은 별도 section으로 관리
- 기능에 대한 Flow 기술 방안 고민 필요
- 문서 Format 검토 필요 (Word? Power Point?)
- UI 디자인시 의사결정 과정 및 이력 관리 방안 고민 필요

3. 플립북 운영 방안
- 최초 UI 설계에 대하여 기술 제약으로 구현이 안되는 항목은 최초 UI 설계 내용을 유지하고 기술적 문제를 Comment 하는 방향으로 운영 (최초의 idea 및 좋은 design에 대한 이력이 없어지면 안됨)
- 업체 의뢰할 때 technical writer가 문서 작성하도록 요청
- UI 설계 수정시 내부 공유 및 문서 Update, 외부 Release 방안